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법인세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납부 예시

by 대광이 2025. 6. 11.
728x90
반응형
SMALL

대한민국의 법인세율은 기업의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기업의 과세표준(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금액)에 따라 다른 세율이 적용되는 누진세율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법인세율은 기업 투자 활성화 및 세수 확보 등의 목적으로 여러 차례 개정되었습니다.

1. 현재 대한민국 법인세 세율 (2023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

현행 법인세율은 2022년 말 세법 개정을 통해 20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습니다. 각 과세표준 구간별로 기존 세율에서 1%p씩 인하되었습니다.

과세표준 (각 사업연도 소득)세율누진공제액
2억 원 이하 9% -
2억 원 초과 200억 원 이하 19% 2,000만 원
200억 원 초과 3,000억 원 이하 21% 4억 2,000만 원
3,000억 원 초과 24% 94억 2,000만 원
 

누진공제액은 세금 계산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금액으로, 특정 구간의 세율을 적용한 후 공제해주는 방식입니다.

참고: 법인세 외에 지방소득세(법인세액의 10%)가 별도로 부과되므로, 실질적인 법인세 부담은 표기된 세율에 10%를 더한 것이 됩니다. 예를 들어, 9% 세율 구간의 법인은 지방소득세 0.9%를 더해 총 9.9%의 세금을 부담합니다.

2. 이전 법인세 세율

현행 세율이 적용되기 이전의 법인세율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2018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적용 세율

이 시기에는 최고세율이 25%로 인상되었었습니다.

과세표준 (각 사업연도 소득)세율
2억 원 이하 10%
2억 원 초과 200억 원 이하 20%
200억 원 초과 3,000억 원 이하 22%
3,000억 원 초과 25%
Sheets로 내보내기

그 이전 주요 변동 (예시)

  • 2009년 ~ 2017년: 이명박 정부 시절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법인세율이 인하되었습니다.
    • 2억 원 이하: 10%
    • 2억 원 초과: 22%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200억 원 초과 기준 22%, 2011년 이후 2억~200억 원 20%, 200억 원 초과 22%로 변경)
    • 최고세율이 25%까지 올랐던 참여정부 시절(2005년~2008년)과 비교하면 인하된 수준이었습니다.
  • 1975년: 역대 최고 법인세율인 **40%**를 기록한 적도 있습니다.

법인세율 변동의 주요 특징

  • 경기 상황 및 정부 정책: 법인세율은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예: 투자 활성화, 재정 건전성 확보) 및 국내외 경기 상황에 따라 변동되어 왔습니다. 기업의 세금 부담을 줄여 투자를 유도하거나, 반대로 세수 확보를 위해 세율을 인상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 세율 구간의 복잡성: 우리나라 법인세율은 OECD 국가들 중에서도 비교적 복잡한 4단계 누진세율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일부에서는 세율 체계의 단순화를 주장하기도 합니다.
  • 국제적 추세: 전 세계적으로 법인세 인하 경쟁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 도입 논의 등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법인세율은 국가 재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기업의 투자 및 고용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지는 부분입니다.

 

 

법인세 납부 예시: '성공기업 주식회사'

가정:

  • 기업명: 성공기업 주식회사
  • 사업연도: 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12월 결산법인)
  • 과세표준 (사업연도 소득): 1억 5천만 원
    • (과세표준은 기업의 총수익에서 총비용과 세법상 인정되는 공제액을 뺀 금액으로, 여기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1. 과세표준 확인 및 세율 적용

  • 성공기업 주식회사의 과세표준은 1억 5천만 원입니다.
  • 2024년 적용 법인세율을 확인하면:
    • 2억 원 이하: 9%
  • 따라서, 성공기업 주식회사의 법인세율은 9%가 적용됩니다.

2. 법인세 계산

  • 법인세 = 과세표준 × 세율
  • 법인세 = 1억 5천만 원 × 9%
  • 법인세 = 1,350만 원

3. 지방소득세 (법인세분) 계산

  • 법인세가 결정되면, 해당 법인세액의 10%를 지방소득세(법인세분)로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 지방소득세 = 법인세액 × 10%
  • 지방소득세 = 1,350만 원 × 10%
  • 지방소득세 = 135만 원

4. 총 납부할 세액

  • 총 납부세액 = 법인세 + 지방소득세
  • 총 납부세액 = 1,350만 원 + 135만 원
  • 총 납부세액 = 1,485만 원

5. 납부 절차 및 시기

  • 사업연도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 성공기업 주식회사의 경우, 2024년 12월 31일이 사업연도 종료일이므로, 2025년 3월 31일까지 법인세와 지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 납부 방법:
    • 법인세: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전자신고 및 납부가 가능하며, 금융기관을 통해서도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지방소득세: 위택스(지방세 인터넷 납부 시스템)를 통해 전자신고 및 납부가 가능하며, 금융기관을 통해서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참고 사항:

  • 중간예납: 법인세는 원칙적으로 1년에 한 번 신고·납부하지만, 일정 규모 이상의 법인은 상반기 실적에 대해 중간예납을 통해 세금을 미리 납부해야 합니다. 중간예납 세액은 확정 법인세 납부 시 공제됩니다.
  • 세액공제 및 감면: 기업은 연구개발비, 투자 설비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세액공제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최종 납부할 법인세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위 예시에서는 편의상 세액공제/감면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 결손금 처리: 만약 기업이 적자를 기록하여 과세표준이 마이너스인 경우, 해당 결손금을 다음 사업연도의 소득에서 공제하여 법인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예시를 통해 법인세가 어떻게 계산되고 납부되는지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